본문 바로가기


지식/정보

알뜰교통카드 k패스 전환 변경 방법 및 혜택 차이

by 아크kk 2024. 3. 15.

알뜰교통카드 k패스 전환 변경 방법 및 혜택 차이

안녕하세요. 오주부 입니다.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시는 분이라면 알뜰교통카드에 대해서 알고 있다면 경제적으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는 알뜰교통카드는 폐지될 예정이고 K패스로 전환이 되는데요. k패스는 2024년 5월에 출시 될 예정입니다.

 

k패스를 이용하시면 대중교통비를 최대 53% 절약할 수 있으며 전국에서 시행하기 때문에 상당히 좋은 조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계신분이라면 K패스 전환 변경 신청을 해야하는데요. 그럼 자세한 내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K패스 (구 알뜰교통카드)

k패스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일부 혜택을 주는 교통카드라고 보시면 됩니다. 매월 15회 이상 이용시 적립금이 지급이 되고, 월 최대 60회 까지 지원이 됩니다.

 

지원 환급금은 대중교통을 이용한 다음 달에 적립금으로 지급이 되며 전국 시내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되면 교통비의 일부를 환급해주는 제도 입니다. 

 

또한 곧 GTX A노선도 개통될 예정인데 광역버스나 gtx에도 동일하게 환급 적용이 되다보니 출퇴근 교통비를 상당히 줄일 수 있는 조건입니다. 

k패스 환급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일반인은 20%
  • 만 19세 ~ 34세 청년은 30%
  • 기초생활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의 저소득층은 53%
K패스 일반인 청년(만19세~34세) 저소득층
적립률 20% 30% 53.3%

 

 알뜰교통카드 k패스 변경 전환 방법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그대로 이용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k패스전환을 통해서 회원전환을 하셔야 합니다. 

 

메뉴 및 설정 페이지에서 k패스에 들어가면 k패스전환을 눌러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전환 기간 종료 후에는 k패스에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별도로 거친 경우에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k패스 사업은 국비와 지방비로 운영이 되기 때문에 주민등록지상 주소지가 k패스 사업에 참여한 지자체여야 하며, 예산 상황에 따라 감액 또는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의 경우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적립이 이루어졌지만, k패스는 이용요금에 따라 할인이 되니 더 좋아졌으며 별도로 더이상 출발과 도착을 기록할 필요가 없어진게 큰 장점입니다. 

 

또한 기존 알뜰교통카드는 환급률이 20% 였지만 최대금액이 고정이 되었습니다. 반면 k패스는 상한금액이 없기 때문에 대중교통을 한달에 15회 이상 이용한다면 꼭 발급받고 이용하시는게 좋습니다. 

20%할인에 상한액이 없다면 왠만한 신용카드혜택보다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회당 1,500원씩만 지출한다고 했을경우 한달에 1.8만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신규회원 발급신청에 관한 이야기는 아직 없는 상태이며 4월중에 나오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오늘은 알뜰교통카드 폐지 후 대신 나오는 k패스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k패스 전환 변경 하여 지금 쓰고 계신 카드로 쭉 혜택 이어 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