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3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인상 사후지급금 폐지 1년6개월 시행 시기 2025년 육아휴직 급여 인상 사후지급금 폐지 1년 6개월 시행 시기안녕하세요. 오주부 입니다. 최근 저출산으로 인하여 출산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들이 자꾸만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출산이라는게 마음처럼 쉽게 되는것도 아니고, 아이를 무분별하게 출산할 수 없기 때문에 계속해서 많은 사람들이 고민을 하는것 같습니다. 그래도 나름 정부에서는 점점 더 좋아지는 정책들을 펼치고 있으니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는 최대 1년까지 사용할 수 있는 육아휴직을 1년 6개월 까지 확대하고 육아휴직 기간동안 계속해서 육아휴직급여도 지급이 됩니다. 만약 나눠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라면 현재는 총 3번에 나눠서 사용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총 4번에 나눠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가 변경이 됩니다. 출.. 2024. 10. 19. 25만원 민생지원금 지급 대상 전국민 신청 방법 및 시기 25만원 민생지원금 지급 대상 전국민 신청 및 시기안녕하세요. 오주부 입니다. 오늘은 25만원 민생지원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회에서 전국민에게 25만원씩 지급하는 민생회복지원금 특별법을 통해서 국민들에게 지역사랑상품권을 소득 수준에 따라서 25만원에서 최대 35만원 까지 지급하겠다는 이야기 입니다. 1인당 25만원에서 35만원의 민생지원금을 지급 하게 되면 예산은 약 13조원으로 추산이 되고 국민들에게 재정적 도움을 주는것 같지만 결국은 우리의 세금이죠.또한, 돈을 무분별하게 찍어내고 나눠준다면 인플레이션을 동반하기 때문에 결국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고 다른나라보다 더 많은 화폐가 발행이 되었다면 원화의 가치도 절하가 되어 환율에도 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민 25만.. 2024. 8. 3. 2024년 달라지는 것들 정책 부모급여, 교육, 최저임금, 금융, 세금 2024년 달라지는 것들 정책 부모급여, 교육, 최저임금, 금융, 세금 안녕하세요. 오주부 입니다. 2024년이 시작되었습니다. 새해가 되면 새로운 다짐을 하기 마련인데요. 정부정책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새로 신설되거나 개정이 되는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특히나 복지부분이나 세금부분에 관해서 미리 알아둔다면 생활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니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의목차]] 출산, 육아, 돌봄 분야 첫만남 지원금 (다둥이 둘째 출산 부터 200만원 > 300만원) 육아휴직 유급지원기간 확대 ( 12개월 > 18개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지원 (5일 > 10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 (12세 이하 최대 36개월) 0~23개월 자녀 부모급여 인상 ( 0세 100만원, 1세 50만원) 2024년 달.. 2024. 1. 5. 이전 1 다음